본문 바로가기
경제
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조건

by 매일 수 2025. 3. 24.
반응형

청년도약계좌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장기 저축 상품입니다.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 지원금을 지급해 최대 5년 후 5,0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인데요!

이번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, 조건, 혜택, 주의사항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
📌 청년도약계좌란?
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돕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자산형성 지원형 적금입니다. 개인의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지원금이 차등 지급되며, 5년 동안 저축하면 최대 5,000만 원까지 모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.

✅ 청년도약계좌 특징

5년 만기로 운영
개인 저축액 + 정부 기여금 + 이자 지급
최대 5,000만 원 이상 자산 형성 가능
청년층(만 19~34세) 대상

💡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지원금이 많아지는 구조!


📌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

구분신청 조건
연령 만 19~34세 (청년도약계좌 가입일 기준)
개인 소득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(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)
가구 소득 중위소득 180% 이하
거주 요건 대한민국 거주 청년 (내국인)
가입 가능 은행 KB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NH농협, IBK기업, BNK부산, BNK경남, 대구, 광주, 전북, 제주은행

💡 근로소득, 사업소득이 있는 청년이라면 대부분 신청 가능!

청년도약계좌 신청 바로가기

📌 청년도약계좌 정부 지원금 및 혜택

개인소득 구간월 납입금정부 지원금만기 시 예상 수령액 (이자 포함)
총급여 2,400만 원 이하 40만 원 최대 24만 원 약 5,000만 원
총급여 3,600만 원 이하 40만 원 최대 14만 원 약 4,200만 원
총급여 4,800만 원 이하 40만 원 최대 8만 원 약 3,800만 원
총급여 6,000만 원 이하 40만 원 최대 4만 원 약 3,400만 원
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40만 원 지원 없음 약 3,000만 원

💡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 지원금이 많아지는 구조이므로,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!


📌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(온라인 & 오프라인 가능!)

🔹 1. 온라인 신청 방법

1️⃣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 은행 홈페이지 접속
2️⃣ 본인 인증 후 청년도약계좌 신청서 작성
3️⃣ 소득 및 가구 소득 요건 확인 후 제출
4️⃣ 심사 완료 후 계좌 개설 및 납입 시작

🔹 2. 오프라인(은행 방문) 신청 방법

1️⃣ 가까운 청년도약계좌 취급 은행 방문
2️⃣ 신분증 및 소득 증빙 서류 제출
3️⃣ 상담 후 신청서 작성 및 계좌 개설

💡 신청 기간 중 소득 확인이 필요할 수 있으니, 미리 소득증빙 서류(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등)를 준비하세요!

청년도약계좌 신청 바로가기

📌 청년도약계좌 신청 시 주의사항

1. 중도 해지 시 정부 지원금 미지급

  • 5년 만기 전 해지하면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없음
  • 단, 예외적 사유(질병, 실직 등) 발생 시 일부 인정

2. 가구 소득 기준 초과 시 가입 불가

  • 개인 소득뿐만 아니라 가구 소득 기준(중위소득 180%) 초과 시 신청 불가

3.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중복 가입 불가

  •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청년도약계좌로 전환 가능
  • 단, 지원금이 차등 적용될 수 있음

4. 납입 금액 조정 가능

  • 매월 40만 원 이하 금액으로 납입 가능
  • 자유 적립식으로, 일정 금액 이상 저축하지 않아도 유지 가능

💡 청년도약계좌는 장기 적금이므로, 중도 해지를 피하고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!


 마무리

정부 지원금을 활용해 5년 만기 시 최대 5,000만 원 목돈 마련 가능!
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지원금이 차등 지급되므로 저소득 청년일수록 유리
매월 4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가능, 부담 없는 저축 가능
5년 유지 시 큰 혜택, 단 중도 해지하면 정부 지원금 미지급 주의!

반응형

댓글